반응형

1. 제주도(1,845㎢)

대한민국의 남서쪽에 있는 섬. 행정구역상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의 관할. 한국의 섬 중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섬으로 면적은 1833.2㎢이다. 이는 대한민국 본토에서 가장 큰 기초자치단체인 홍천군(1,820.14㎢)보다 약간 크며, 제주도 다음 2번째 큰 섬인 거제도(379.5㎢)의 5배 정도 된다. 인구는 약 68만 명. 세계 섬 크기 218위이다.

동아시아권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꽤 큰 섬이다. 6,000개가 넘는 섬이 있는 일본조차도 본토로 간주되는 혼슈, 홋카이도, 시코쿠, 규슈 4개 섬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섬이 제주도보다 작다. 중국도 하이난 섬 한 곳만이 제주도보다 클 뿐이다. 하와이에서도 최대 섬인 하와이 섬 다음으로 큰 섬인 마우이 섬이 제주도보다 약간 큰 정도이다. 미국도 본토만 따지면 제주도보다 큰 섬은 롱아일랜드뿐이다. 프랑스도 본토에는 제주도보다 큰 섬이 코르시카 섬밖에 없고, 독일에서 가장 큰 섬인 뤼겐 섬은 제주도보다 작다.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섬이다. 이 때문에 중심에 한라산이 있고 섬 곳곳에는 200m~300m인 370개가량의 기생 화산(오름)이 있으며, 하논도 그중 하나이다.

먼 옛날에는 탐라국이라는 국가가 있었다. 그래서 제주를 가리키는 이명으로 탐라도라고 불리기도 했다. 감귤이 많이 나서 감귤국이라는 별명도 있다.

유럽에서는 쿠웰파르트(Quelpart)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1642년 네덜란드의 쿠웰파르트 데 브라크(Quelpaert de Brack) 호가 동아시아 지역을 항해하다가 길을 잘못 들어 우연히 제주도를 발견하고 동인도 회사에 보고하게 되면서, 발견한 배의 이름을 차용한 것이다. 쿠웰파르트는 당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직원들의 속어로 소형 선박을 뜻하는 용어이기도 했다. 

*출처:나무위키

이미지:제주관광공사

 

이미지:제주관광공사

2. 거제도(401㎢)

한반도 동남부, 경상남도 거제시에 속한 섬. 거제시의 본섬이며 사실상 거제시 그 자체이다. 한국의 섬 도시들 중에서 유일하게 자치시다.
한반도에서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섬(379.5㎢)이다. 두 번째이기는 하지만 1위인 제주도가 거제도보다 4.8배 커 1위와 2위 사이의 차이가 큰 편이다. 한편 세 번째인 진도(367.8㎢)와는 면적이 대동소이하다. 인구도 제주도에 이어 섬 중에서 두 번째로 많다.

해안선이 제주도보다 훨씬 복잡하다. 한국 전체를 통틀어도 손꼽히게 해안선이 복잡한 편으로 해안선 길이가 328km에 달해, 해안선이 단조로워 그 길이도 253km에 불과한 제주도를 넘어 우리나라 섬 중에서 가장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지형도 변화무쌍해 거친 바위섬과 절벽이 많고, 마치 금강산을 연상케 한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해금강'을 비롯해 경치가 좋은 곳이 많아서 알음알음 알려진 관광지이기도 하다.

*출처:나무위키

이미지:거제시청 홈페이지
이미지:거제시청 홈페이지

3. 진도(363㎢)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가장 큰 섬이자 군. 1984년에 완공된 진도대교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2005년 제2진도대교가 바로 옆에 만들어졌다. 진돗개와 홍주가 유명하다.
몽땅 섬이다. 동북쪽으로 바다 건너 해남군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바다 건너 신안군의 섬들과 인접하며 동쪽으로는 바다 건너 완도군의 섬들과 인접하며 남쪽으로는 남해바다 경계로 제주특별자치도와 접한다.

육지인 해남군 문내면과 연륙교인 진도대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현재 진도군의 공식 로고에도 사용한다. 강화도처럼 사실상 육지에 준하는 느낌을 준다.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에서 제주도를 제외하고 육로로 이동할 수 있는 가장 먼 곳이다. 국토의 대척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직선거리로만 500km를 넘는다! 서울 - 부산 간 직선거리가 330km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정말 끝과 끝이라 할 수 있다.

진도의 대척점은 우루과이 동남부에 해당한다. 진도군 서쪽 끝에 해당하는 팽목항에서 땅을 파고 들어가 중심부를 지나 올라오면 우루과이의 동남부에 위치한 로차(Rocha) 주의 소도시 카보 폴로니오에 도착한다. 이곳 또한 해안가에 있는 도시다. 우리나라에서 육지 대 육지로 대척점이 형성되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다.

조선시대에는 무려 본토에 월경지도 갖고 있었다. 각각 영암군과 해남군에 둘러싸인 명산면과 삼촌면이었는데, 1906년 월경지 정리로 인해 인접 군으로 편입되었다. 이는 조선 후기 제작된 전국지도인 대동여지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출처:나무위키

4. 강화도(302㎢)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속한 섬. 강화군의 본섬이다.

원래 경기도의 섬이었지만, 1995년 3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 그럼에도 인천광역시 본토보다는 경기도 김포시와 가깝고, 육로를 통해 가려면 무조건 김포시를 거쳐야 한다.
2016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4번째로 면적이 큰 섬이다. 원래 제주도, 거제도, 진도, 남해도에 이어 5번째 섬이었고 면적이 300㎢가 안 되었으나, 장기간 간척 사업을 진행하여 면적이 조금씩 늘어나다가 300㎢를 넘어, 원래 면적 차이가 적던 남해도보다 넓어져서 대한민국 제4의 섬이 되었다.

동쪽으로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대곶면과 마주하고, 서쪽으로는 황해 바다가 펼쳐져 있고, 남쪽으로는 바다 건너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과 마주하며, 북쪽으로는 한강(휴전선) 건너 북한 개성시, 연안군, 배천군과 마주한다.

김포시와 염하(鹽河)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어서 4면이 바다 및 염하로 둘러싸여 있으며, 강화와 김포 사이에 강화대교와 초지대교의 2개의 다리가 있다.

특히 한강(휴전선) 건너편은 북한이기 때문에, 강화도 북부 지역에는 긴장이 느껴진다. 실제로 강화도의 관문인 강화대교에서도 저 멀리 북녘 개성시 구 개풍군 지역의 산이 보인다.

인천광역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육로로는 인천광역시 본토로 바로 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육로로 가려면 경기도 김포시를 경유해야 한다. 후술 하듯이 이것 때문에 강화도 내에서도 경기도 환원 주장이 자주 나오고 있다. 다만, 언제 실현될지 기약이 없지만(...) 영종도와 강화도 남부를 연결하는 다리가 개통되면 굳이 김포를 경유하지 않아도 된다.

주변 해역의 물살이 상당히 험한 편이다. 조수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에서도 특히 격차가 심한 곳이고, 여기에 예성강과 조강이 강화도 인근 해역으로 유입되면서 더더욱 물 흐름이 복잡하기 때문. 그런 와중에도 이곳이 한강 유역으로 들어가는 중요한 수운 거점이어서 강화도는 그 가치가 매우 컸다.

*출처:나무위키

 

 

5. 남해도(301㎢)

한반도 남부, 경상남도 남해군에 속한 섬. 남해군의 본섬으로 창선면 소속의 창선도를 제외한 남해군 거의 대부분이 남해도에 있다.
대한민국에서 제주도, 거제도, 진도, 강화도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섬으로, 면적은 301㎢이다. 원래 강화도보다 넓었지만, 강화도가 장기간의 간척사업으로 302제곱킬로미터를 넘기는 바람에 남해도보다 넓어져서, 남해도가 제5의 섬이 되었다. 섬이라지만 제주도와 달리 북쪽으로 남해대교와 노량대교를 통해 하동군과, 창선도와 창선·삼천포대교를 통해 사천시(삼천포)와 육로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실상 섬이라는 느낌이 덜하다. 서쪽 바다 건너 전라남도 여수시와도 교량(해저터널?)으로 연결할 계획이 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이곳저곳이 지정되어 있다. 이름답게 남해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섬으로 경치가 좋은 곳이 많다. 미국마을이나 독일마을을 개발하고, 철도는 없지만 성수기에 내일로 이용자를 진주역에서부터 픽업해오는 투어를 꾸준히 시행하는 등, 남해군 측에서 관광산업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다.

*출처:나무위키

 

 

6. 안면도(113㎢)

안면도(安眠島)는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섬으로, 한국에서 7번째로 큰 섬(면적 113.5㎢)이다. 동쪽으로는 천수만이 있고 서쪽은 황해와 접한다. 섬의 북쪽은 안면대교와 안면 연륙교로 태안군 본토와, 섬의 남쪽은 원산안면대교와 보령 해저터널로 보령시와 연결되어 있다.

행정구역상으로 섬의 북부와 중부는 태안군 안면읍, 섬 남부는 고남면에 속한다. 원래 섬 전체가 안면읍이었으나, 1986년 섬 남쪽 지역이 고남면으로 분리되었다.

*출처:나무위키

 

 

7. 완도(91㎢)

전라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 섬으로만 이루어져 있지만 연륙교 등으로 육지와는 잘 연결되어 있는 편이다. 남쪽으로는 남해바다 경계로 제주특별자치도와 접하며, 동쪽으로 여수시 산하 섬들, 동북쪽으로 고흥군, 북서쪽으로 해남군, 북쪽으로 강진군, 장흥군 서쪽으로 진도군과 접한다.

대한민국의 최남단 군이자 기초자치단체이다. 청산면의 여서도가 대한민국 영토 중 제주특별자치도 관할구역을 제외하면 가장 남쪽에 있다. 또한 완도읍은 최남단 기초자치단체 청사(군청) 소재지이다. 유명인물로는 장보고가 있다.

*출처:나무위키

8. 울릉도(73㎢)

대한민국의 동해상에 있는 섬. 대한민국에서 아홉 번째로 큰 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울릉도, 독도, 죽도, 관음도와 함께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다. 울릉도는 서쪽 방면으로 한반도 쪽에 가깝기는 하지만, 동해 자체가 수심이 깊어서 섬이 거의 없는 바다이기 때문에 거의 동해 한가운데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울릉도의 생활, 역사, 문화, 교통 등에 관해서는 울릉군 문서를 참고.

*출처:나무위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