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태양에 비친 쪽은 밝지만 반대쪽은 암흑 상태가 된다. 위치에 따라 태양과 같은 쪽에서 바라보면   만원(滿月) 즉 보름달이 보이고, 반대쪽에서 보면 신월(新月) 즉 달의 일부만 보게 된다. 

 

이때 달이 보이는 모습에 따라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연 - 촬영자 : 김민규
이미지 : 나무위키 CC BY-NC-SA 2.0 KR

 

 

 

1. 삭, New Moon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끼어 일직선을 이룬 상태다. 달의 뒷면의 태양빛 때문에 지구에서는 달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음력 1일경에 일어나고 삭인 상태에서 태양과 달의 경로가 겹쳐지면 일식 현상이 나타난다.

 

 

2. 초승달, Crescent Moon

Jay Tanner CC BY-SA 3.0

양 끝이 눈썹 모양과 같이 한 쪽으로 긴 달로 음력 2~4일경에 뜨는 달의 이름이다. 아침에 떠서 한낮에는 남쪽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초저녁 서쪽하늘에서 관찰 가능하다.

 

3. 반달, Half Moon (상현, 하현)

음력 7~8일, 22~23일에 나타난다. 달에 지구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달의 절반만 보인다.

 

  가. 하현

Torsten Edelmann CC BY-SA 2.5

  나. 상현

Jay Tanner CC BY-SA 3.0

 

4. 그믐달, Dark Moon

음력 29~30일 경에 관찰되고 초승달과 좌우가 반대되는 달이다. 저녁에 관측되는 초승달과 달리 새벽에 뜨기 때문에 관측이 어렵다. 

더위키 CC BY-NC-SA 2.0 KR

 

선진 16색 감성 달 무드등 중형 + 리모컨, 혼합색상

"쿠팡 링크의 경우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5. 보름달, Full Moon

달이 태양과 지구의 반대쪽에 위치할 때 달 앞면의 전체가 밝게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만월, 망월로도 불리며 보름달의 밝기는 꽤 밝다. 음력 1월 15일은 정월대보름, 음력 8월 15일은 추석(한가위)으로 우리나라는 보름달이 뜨는 날을 길하게 여기었다. 저녁 무렵 동쪽에서 떠서 한밤중이 될 때까지 남쪽으로 이동한다. 

Tomruen CC BY-SA 4.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