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피] 2025년 3월 27일 네이버 주가 분석

[코스피] 2025년 3월 21일 네이버 주가 분석[코스피] 2025년 3월 17일 네이버 주가 분석2025.03.14 - [주식] - [코스피] 2025년 3월 14일 네이버 주가 분석 [코스피] 2025년 3월 14일 네이버 주가 분석2025.03.12 - [

sizolla.tistory.com

1. 차트분석

부정회로대로 흐르고 있다.

딱 w의 1배 자리에서 멈췄다.

근데 반등의 세기가 약하다.

 

1) 긍정회로

복합조정으로 한파동 올려주고 삼각수렴으로 하락 마무리

이 경우 저점은 거의다 왔거나 약하게 저점을 갱신할 수도 있을 것 같다.

 

2) 부정회로

가격적으론 반등이 나와도 되는 자리이기 하나

채널 상 반등이 나오기엔 위치가 애매하다.

중단에 걸친것도 아니고 하단을 터치한것도 아니다.

180,100~183,300 자리까지 찍는게 반등의 힘을 더 키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3) 암울회로

오늘 종가 자리에서 시원찮게 반등하다가

채널 상단 맞고 다시 흘러 내리는 시나리오.

이 경우는 지하 몇층까지 갈려는지 가늠도 불가능하다.

 

2. 공매도

오늘 부터 공매도 재개

24억원 들어왔다.

그렇게 큰 금액은 아니지만 19만원에 숏배팅 한 사람들도 뭔가 생각이 있을건데......

 

3. 매크로

상황이 뭐 하나 좋은게 없다.

트럼프 관십세 때문에 금리도 내릴 것 같지도 않고

환율, 소비 심리 다 개박살이다.

 

반응형

4. 결론

요즘처럼 시장이 불확실한 시기엔 종목 하나하나를 바라보는 눈이 더 날카로워져야 한다. 그중에서도 네이버는 늘 관심 종목 안에 있지만, 섣불리 손을 대면 안 되는 종목이기도 하다.

내 기준은 명확하다.
“의미 있게 채널 상방을 돌파하는 걸 확인하고 나서야 비로소 매수를 고려한다. 그 전까진 촉수 엄금이다.”

왜 이렇게까지 조심스러워야 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네이버는 거시경제(Macro Economy)의 영향을 너무 많이 받는 종목이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주요 수익원은 광고, 커머스, 콘텐츠 플랫폼 등인데, 이 모두는 경기와 소비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경기가 나빠지면 기업들은 광고비부터 줄인다.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고, 스마트스토어 매출도 떨어진다. 금리가 오르면 기술주의 밸류에이션은 낮아지고, 외국인 자금도 빠져나간다.

즉, 네이버의 주가는 단순한 기업 실적만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거시경제 전체 흐름의 영향을 매우 강하게 받는 구조라는 점이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주가가 조금만 올라가면 “이제 바닥 찍은 거 아니야?”라고 묻는다. 하지만 나는 단순한 반등에 절대 현혹되지 않는다.

“진짜 추세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

  1. 명확한 채널 상단 돌파
  2. 거래량 동반 상승
  3. 주봉 혹은 월봉 기준 종가 마감
  4. 기존 저항선을 지지선으로 전환하는 흐름

이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그 어떤 상승도 신뢰하지 않는다.
상승처럼 보이는 하락의 일부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네이버는 하단 채널을 그리며 하락 중이다. 약간의 반등은 있지만, 여전히 매크로 환경과 기술적 흐름 모두 명확하지 않다.

이럴 땐 관망이 답이다. 성급한 진입은 결국 흔들림에 노출되고, 손절이나 장기존버로 이어지기 쉽다.

오히려 지금은 확실한 추세 전환 시그널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더 큰 수익을 가져올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