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클립스에서 인코딩을 설정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 각각 파일 확장자에 따른 에디터 설정
-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
- 워크스페이스에 대한 설정
- 이클립스 전체에 대한 설정
설정에 대한 우선 순위는 위에 적힌 순서이다.
에디터에 설정 돼 있을때는 이클립스 전체 설정을 바꾼다고 해서 바뀌지 않는다.
1. 각 파일 확장자에 따른 설정
windows -> Preferences 에서 enc로 검색 후 -> Content Types 로 들어가면
각각 파일 확장자 별로 encoding 설정을 할 수 있다.
비워두면 상위 설정을 따라간다.
*입력 후 꼭 "Update"를 눌러야 설정이 저장된다.
2.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
프로젝트 선택 -> 우클릭 -> Properties -> Resource 로 들어가면
인코딩을 선택할 수 있다.
Inherited from container를 체크하면 상위 설정을 따라간다.
특정 프로젝트만 별도로 설정하고 싶을때만 Other에서 다른 인코딩 값을 선택해주면 된다.
3. 워크스페이스에 대한 설정
windows -> Preferences -> Workspace 로 들어가면
워크스페이스에 대한 인코딩을 설정할 수 있다.
기본은 이클립스 전체에 대한 설정을 따라간다.
별도로 지정하고 싶을때만 Other에서 선택해주면 된다.
4. 이클립스 기본 설정
이클립스 기본 인코딩을 바꾸고 싶을 경우
eclipse.ini 파일을 수정해주면 된다.
eclipse.ini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열고 아래 한줄을 추가해준다.
-Dfile.encoding="인코딩타입"
예) -Dfile.encoding=utf-8
반응형
'컴퓨터&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ERROR:ORA-01723: zero-length columns are not allowed 해결 (0) | 2023.03.27 |
---|---|
[오라클] Oracle 데이터 비교 쿼리 (0) | 2022.11.29 |
[MiPlatform] http.sync 동기/비동기 처리 옵션 (0) | 2022.11.16 |
[오라클] Oracle 두개 테이블 조인 업데이트 (0) | 2022.11.14 |
[MSSQL, 오라클] 테이블 복사(백업) (0) | 2022.11.14 |